국민연금 가입기간(보험료 납부기간) 중 5년 이상 혼인관계를 유지했던 노령연금 수급권자와 이혼한 경우, 이혼한 배우자가 60세 이상이 되면 분할연금을 청구하여 지급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노후재테크 - 분할연금
이혼한 상대배우자가 노령연금 수급권자의 가입기간 중 혼인기간 동안 정신적-물질적으로 기여한 부분에 대해 노령연금 수급권의 일부를 분할하여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제도를 분할연금이라고 합니다. 분할연금은 재혼하더라도 계속 지급 받을 수 있으며, 본인의 노령연금과 분할연금은 두 급여를 모두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서비스 - 분할연금
분할연금 수급요건
1. 배우자였던 자의 가입기간 중 혼인기간 5년 이상으로 혼인기간과 연금보험료 납부기간이 5년 이상 중복되어야 합니다.
2. 이혼을 하였거나
3. 배우자였던 자의 노령연금 수급권을 취득했거나
4. 수급 대상자 본인이 60세 이상인지에 따라 받을 수 있는지에 따라 수급요건이 해당됩니다.
2013년부터 연금을 받게 되는 연령이 출생년도에 따라 단계별로 상향되었으므로 아래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출생연도 (단위:년) |
수급연령 (단위:세) |
1953 ~ 1956 |
61 |
1957 ~ 1960 |
62 |
1961 ~ 1964 |
63 |
1965 ~ 1968 |
64 |
1969 ~ |
65 |
(1953~1956년 출생자는 만 61세가 되면 분할연금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달라지는 분할연금
2016년 11월 30일부터는 분할연금 청구 기한이 기존 3년에서 5년으로 연장되어 이혼 배우자의 연금수급권이 강화되었습니다.
이와함께 분할연금수급권 포기가 가능해져서 분할연금을 받고 있던 중 이혼했던 원래 배우자와 재결합하여 분할연금 수급권을 포기하면 분할 전의 온전한 노령연금에 배우자에 대한 부양가족연금이 추가되어 지급됩니다. (부양가족연금이란 국민연금을 받는 분에게 부양가족이 있는 경우 추가로 지급되는 가족수당 성격의 급여)
국민연금 서비스 - 분할연금
2016년 12월 30일부터는 기존 분할연금이 배우자였던 자의 노령연금액 중 혼인기간에 해당하는 연금액의 50%만 받을 수 있던 비율을 당사자간의 협의 또는 법원의 재판으로 분할비율을 조정할 수 있도록 제도가 바뀌었으며
분할연금 선청구 제도를 도입하여 국민연금 가입기간 중 혼인기간이 5년 이상(기존 3년)이고 이혼했다면 이혼일로부터 3년 이내 미리 청구가 가능하도록 법이 개정되었습니다.
국민연금과 분할연금의 자세한 사항이 궁금하시다면 국민연금 홈페이지 또는 가까운 국민연금 지사에 문의하시면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정보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맛있는 피자헛 먹고 공짜 파스타 받고 (0) | 2017.11.16 |
---|---|
노인틀니 및 치과임플란트 건강보험 혜택 (0) | 2017.01.07 |
무인단속카메라 및 교통범칙금 조회 서비스 이파인 (0) | 2017.01.03 |
프라모델 저렴하게 살 수 있는 강남역 건담베이스 (0) | 2017.01.03 |
자동차종합검사 배출가스 재검사 통과방법 (0) | 2016.12.26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