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가을만 되면 외롭지? 여자는 봄을 탄다고 하고 남자는 가을을 탄다고 하지요. 가을이 깊어지면서 파란 하늘과 떨어지는 낙엽을 보고 있노라면 고독해지는 기분을 누구나 겪어 봤을 거예요. 이럴때 "아! 나 가을 타나 봐" 생각하실 텐데요.


 유독 남자들이 이런 경험이 많아서 그런지 가을은 남자를 상징하는 계절이 되어 버렸습니다. 심하면 사람을 만나는 것도 꺼리며 아무도없는 곳에서 혼자 있고 싶고 무기력해지거나 우울해지는데, 왜 이런 증상들은 생기는 것일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절이 변하면서 느껴지는 우울함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합니다. 가을이 되면서 밤은 길어지고 낮은 짧아지며 일조량이 줄어드는데 일조량에 따라 분비량이 변하며 감정을 조절하는 호르몬이 있는데 바로 '멜라토닌''세로토닌'이라고 합니다.



 멜라토닌은 숙면을 유도하는 호르몬으로 빛을 감지하여 우리 몸의 생체리듬을 유지해주며 주로 밤에 생성됩니다. 가을에 밤이 길어지며 분비량이 급격한 변화로 무기력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반대로 세로토닌은 햇빛이 강할 때 분비되어 기분이 좋아지며 행복함을 느끼게 해줍니다. 하지만 일조량이 줄어들면서 분비량이 감소하고 행복감도 줄어드는데 심한 경우 우울증에 걸릴 수도 있다고 합니다.



 두 개의 호르몬은 계절적 요인으로 분비에 영향을 끼쳐 가을이 되면 우울해지고 무기력해지는데 영향을 줍니다. 이런 현상이 심해지면 '계절성 정동장애(계절적인 변화가 기분에 영향을 줘 생기는 우울증)까지 오는데 증상이 심해질 경우 약물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가을 타는 것을 해결할 수 있을까요? 개인차가 있을 수 있지만 낮에 햇볕을 쬐며 산책을 하는 것이 좋으며, 가을을 탄다고 해서 고독하고 외로워하며 혼자 갇혀 있을 것이 아니라 야외로 나와 상쾌한 가을 날씨를 만끽하는 것이 좋습니다. 햇볕을 쬐면 세로토닌이 활발하게 분비되어 심적인 안정을 찾게 도와줄 수 있습니다.


 또한, 멜라토닌은 빛의 양에 따라 변하는 호르몬이므로 밤에 조명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스마트폰 사용을 절제하며 숙면을 위한 환경을 조성하라고 합니다.  쌀쌀해지는 날시와 떨어지는 낙엽을 보며 괜스레 우울해지는 것이 아니라, 계절의 변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신체적 반응임을 인지하여야 합니다. 혼자서 고독을 즐긴다고 생각하지 말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가족, 친구들과 햇볕 좋은 날 같이 여행이나 산책을 가보는 것은 어떨까요?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